전체 글 305

농구 스텝, basketball step

[스핀 무브, Spin Move]이름 그대로 드리블 도중 몸을 회전시키는 기술이다.돌파 드리블 도중에 사용하는 방법과, 포스트업 도중에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꼭 드리블 도중이 아니라도 피벗으로 스핀무브하며 첫 드리블을 시작할 수도 있다. 스핀무브 후에 다시 드리블을 하려면 동작 도중에 공을 잡거나 캐링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1960~70년대 볼티모어와 뉴욕에서 활약했던 전설적인 가드 얼 먼로가 이 기술에 이은 점프슛이나 더블 클러치 등을 능수능란하게 구사해 수비수들을 여러 차례 애먹이곤 했으며, 그 이후로도 마이클 조던, 폴 피어스, 토니 파커, 카멜로 앤서니, 르브론 제임스 등 스핀무브로 재미보는 득점원들은 꾸준히 등장해왔다.정상급 로우포스트 득점원은 포스트업에 이은 스핀무브를 높은 완성도로 ..

스포츠/농구 2025.02.05

농구 드리블, basketball dribble

[크로스오버, Crossover]농구에서 V자로 방향전환하는 드리블을 가리킨다. 혹은 여기서 발전하여 드리블을 하다가 급격하게 좌우로 방향을 바꾸거나 페이크를 줘서 상대 수비수를 속이는 기술을 의미하기도 한다. 21세기 들어서는 보통 후자의 의미로 많이 쓴다.본래 단순히 한쪽 손에서 다른쪽 손으로 드리블하며 옮기는 동작을 크로스오버라 칭하다가, 드리블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새로운 크로스오버 기술들의 등장이 엄청나게 이루어지고 해당 크로스오버 드리블들의 명칭도 새로 생기면서 점차 독립된 용어가 되었다. 당장 이 '크로스오버' 드리블만 따져도 아이버슨의 드리블과 데론 윌리엄스의 드리블 등등 다 이름이 다르고 움직임이 다르다.카이리 어빙처럼 크로스오버를 연속으로 넣어 수비수의 타이밍을 빼앗을 수도 있다. 참고로..

스포츠/농구 2025.02.05

러닝 슛, running shot

[레이업 슛, Lay-up]골대 가까이에서 시도할 수 있으며, 농구선수들이 가장 먼저 기본기로 배울 정도로 쉽고 안정적인 슛이지만, 그만큼 실패했을 경우 죽도록 까일 수도 있는 슛이기도 하다. 공의 속도가 빠르지 않아, 이리저리 공이 튀지 않고 높은 확률로 골을 넣기가 쉬워서 중ㆍ고등학교 체육 수행평가 과제로 많이 사용된다.한데 가장 기본 슛이면서 동시에 갖가지 테크닉이 겸비되는 슛이 레이업 슛이다. 일단 한 손이 아니라 양 손 모두로 레이업을 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수비를 좌우로 흔드는 강력한 무기가 되는데 양손으로 다 레이업을 넣을 수 있도록 익히는 것만 해도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 거기다 좌우 스텝 어느 쪽을 이용해서도 레이업으로 이어갈 수 있다면 그것도 강력한 공격 수단이 되나 이 역시 제대..

스포츠/농구 2025.02.05

점프 슛, jump shot

[풀업 점퍼, Pull-up Jumper]기본적으로 원 핸드 점프슛과 동일하지만 제자리에서 쏘는 게 아니라 공을 가지고 드리블을 하며 움직이다 급정지(Pull-up)한 뒤 쏘는 슛. 급정지하며 쏘는 만큼 정확성이 떨어지게 되지만 그 만큼 수비수를 떨어뜨리고 슛을 쏠 수 있다. 특히 다른 동료들의 도움을 제대로 못 받는 상태에서 슛을 쏘려면 풀업 점퍼가 필요하게 된다. 1:1 공격에서 가장 유용한 기술 중 하나다.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움직이다 쏘는 식부터 뒤로 스텝을 밟으며 쏘는 식까지 움직이면서 쏜다는 형식 안에서 구현되는 양상은 다양하며, NBA에서 에이스라 불리는 선수들 중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풀업 점퍼를 전부 구사할 수 있는 선수는 드물다. 그리고 우수한 운동능력과 하체 안정성, 내구력이 없다면 ..

스포츠/농구 2025.02.05

디드로 효과, Diderot effect

디드로 효과(Diderot effect)는 문화적으로 연결이 강하다고 여겨지는 소비재에 관한 사회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백과전서파의 대표적 인물인 프랑스의 학자 드니 디드로의 저술에 가장 먼저 나타났으며 이후 소비 패턴을 연구하는 인류학자 그랜트 맥크래켄의 1988년 연구 "문화와 소비"에서 소개되었다. 디드로 효과는 "디드로 통일성" 혹은 "제품간 연결성"이라고 불리는 물체간의 상호작용의 결과가 소비자에게 느껴지는 사회현상이다. 디드로 통일성은 어떤하나가 다른 하나와 문화적 연결성을 가지고 묶음으로서 어울리는 경향이다. 예를 들어 어떤 복장, 가구, 자동차등등에서 나타난다. 맥크레켄은 소비자가 이러한 연결성을 통해 자신의 주변환경을 구축해나가는 방향으로 사회적 활동 특히 소비활동을 하는 것으로 보았다...

경제 2025.02.04

고전 경제학, 古典經濟學, classical economics

고전 경제학(古典經濟學, classical economics)은 경제사상사에서 최초의 근대 경제 이론으로 지목하는 경제학의 한 부류이다. 고전경제학을 정립한 주요 학자로는 스미스, 리카도, 맬서스, 밀 등이 있다. 이들 외에도 퍼티, 튀넨, 그리고 마르크스 등도 고전경제학자로 다루어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1776년 출간된 스미스의 국부론이 고전경제학의 시발점으로 여겨진다. 고전경제학은 19세기 중반까지 경제 이론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으며, 1870년 시작된 영국의 신고전경제학 발현의 근원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고전경제학은 경제 성장과 발전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고 일정부분의 성과를 보였다. 고전경제학자들은 중세 사회로부터 자본주의의 발현에 이르기 까지의 사회 변화와 산업혁명의 결과 등 "장엄한 변동..

경제 2025.02.04

케인스 경제학, Keynesian economics

케인스 경제학(Keynesian economics)은 20세기 영국의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사상에 기초한 경제학 이론이다. 케인스 경제학은 여러 경제학자들이 방임주의의 실패로 인한 것으로 여기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케인스의 이론은 거시경제적 흐름이 각 개인들의 미시적 행동을 압도할 수 있다고 말한다. 경제적 과정을 잠재 생산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보는 18세기 후반 이후 고전파 경제학자들의 관점과는 달리, 케인스는 (특히 불황기에) 경제를 이끌어 가는 요소로서 상품에 대한 총수요를 강조했다. 이런 관점에서 케인스는 1930년대의 높은 실업률과 디플레이션에 대해 거시적인 규모에서 대처하기 위해 정부가 정책적으로 소비를 유도해야 한다고 논했다. 불황기에 정부가 지출을 늘리면 보다 많..

경제 2025.02.04

기회비용, 機會費用, opportunity cost

기회비용(機會費用, opportunity cost)은 하나의 재화를 선택했을 때, 그로 인해 포기한 것들 중 가장 큰 것의 가치를 말한다. 즉 포기된 재화의 대체(代替) 기회 평가량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어떤 생산물의 비용을, 그 생산으로 단념한 다른 생산 기회의 희생으로 보는 개념이다. 어떤 자원이나 재화를 사용해 생산이나 소비를 하였을 경우, 다른 것을 생산하거나 소비했었다면 얻을 수 있었던 잠재적 이익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어떠한 선택을 함으로써 발생한 비용과 그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했던 대안들 중 최선책에 대한 비용(가격)을 합산한 것이다.[이해]예를 들면, 한 도시가 도시 소유의 빈 땅 위에 병원을 건축하기로 결정한다면, 그 기회 비용은 그 땅과 건설 자금을 이용해 행할 수 있었던 다른..

경제 2025.02.04

편승 효과, 便乘效果, bandwagon effect

편승 효과(便乘效果) 또는 밴드왜건 효과(bandwagon effect)는 어떤 선택이 대중적으로 유행하고 있다는 정보의 선택에 더욱 힘을 실어주는 효과를 말한다. [정치]국제관계론에서 한 국가가 중대한 외적 위협에 처했을 때 그 위험의 근원이 되는 세력과 제휴하는 것을 말한다. 즉 취약한 국가는 상대적으로 우세한 국가에게 불평등한 교환을 수반한 복종적인 역할을 수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우월한 강대국의 압력에 굴복하거나 불평등한 조치를 수용함을 의미한다. [선거와 상품시장]선거에서는 우세해 보이는 사람을 지지하는 현상, 상품시장에서는 어떤 상품이 유행함에 따라 그 상품의 소비가 촉진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미시경제에서의 밴드왜건 효과]미시경제에서 밴드왜건 효과는 수요와 선호의 상호작용으로 나타..

경제 2025.02.04

달 착륙, landing on the moon

달 착륙이 어렵다는 것은 여러 가지 복잡한 요소들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1.중력: 달의 중력은 지구의 중력의 약 1/6 정도로, 이는 착륙 시스템이 다르게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너무 빠르게 착륙하면 충돌 사고가 날 수 있고, 너무 느리게 착륙하면 제대로 착륙할 수 없습니다. 2.표면 지형: 달의 표면은 울퉁불퉁하고 바위가 많은 지역이 있습니다. 착륙 시 안전하게 착륙할 평탄한 지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3.통신 지연: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 때문에 실시간 통신이 어렵습니다. 명령을 보내고 받아들이는 데 몇 초의 지연이 발생합니다. 이는 착륙 과정에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움을 초래합니다. 4.연료와 에너지: 착륙 시스템은 정확한 양의 연료와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너무 많은 연료를 사용..

과학/물리학 202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