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05

기준금리와 경제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base rate and the economy

금리란 기본적으로 화폐의 시간적 감가(물가상승)에 대한 보상이므로 물가상승률과 비슷하게 가는 것이 기본이다. 그러나 물가상승률을 정확하게 산정하기 어렵고 그렇게만 해서는 경제성장을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명목) 경제성장률을 상한으로 잡게 된다. 전통적인 경제학에서 인플레이션은 통화량 증가와 동의어이며 경제성장률과도 같은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본다. 따라서 기준금리를 올리고 내리는 것은 단기적인 방책일 뿐 기본적으로는 물가상승에 후행한다고 가정하고 아래 글을 읽기를 바란다. 각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어떤 목적하에 조정한다고 생각하면 더욱 어렵고 돌아가는 방법으로 이해해야 하며 음모론에 빠지기 쉽다.일반적으로 각국 정부들은 경제가 침체되었을 경우 금리를 낮추고, 경제가 과잉되었을 때 금리를 높이는 통화정책..

경제 2025.02.09

줌 피로, 외모 불만족, Zoom fatigue, discontent with appearance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영상통화 플랫폼을 이용한 화상회의가 일상화됐다. 멀리 떨어진 사람들과도 한 자리에서 회의를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원격 화상회의에 대한 피로감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많다. ‘줌 피로’라는 용어가 새로 만들어진 것처럼 일상과 업무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피로도가 높아지게 됐다는 의미다. 그런데, 단순히 업무와 일상의 경계가 사라졌다는 이유만으로 줌 피로가 발생하는 것일까. 최근 연구자들이 줌 피로의 원인을 예상치 못한 부분에서 찾아 눈길을 끈다. 미국 미시간 주립대, 오레곤대, 위스콘신-화이트워터대, 산타클라라대, 서던 일리노이대 공동 연구팀은 원격 가상회의에서 피로함을 느끼는 것은 외모에 대한 불만족 때문이라고 밝혔다. 외모 불만족은 가상 회의 피로와 관련이 있으며, 가상 회의 ..

카테고리 없음 2025.02.09

골디락스, Goldilocks

골디락스(Goldilocks)는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적당한 무언가를 일컫는 용어이다. 영국 전래동화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Goldilocks and the Three Bears)에 등장하는 소녀의 이름 골디락스(Goldilocks)에서 유래한 것으로, 소녀는 곰이 끓인 세가지 스프 중 뜨거운 것과 차가운 것, 그리고 적당한 것 중에서 적당한 것을 먹고 기뻐한 것에서 따온 말이다. 대표적인 예시로 경제학에서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호황을 일컫는 골디락스 경제가 있다. [골디락스 경제]골디락스 경제(Goldilocks economy)는 경제가 높은 성장을 이루고 있더라도 물가상승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을 지칭하는 경제용어이다. 골디락스란 용어가 경제분야에서 자주 사용된 것은 1990년대 후반이다. 당..

경제 2025.02.06

암흑물질 탐색, dark matter search

암흑물질 탐색을 위한 새로운 시도가 성공적인 첫걸음을 뗐다. 기초과학연구원은 지하실험 연구단이 이끄는 국내 공동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상용 원자로를 활용해 가벼운 암흑물질을 직접 탐색하는 네온(NEON) 실험을 구현했다고 밝혔다. 이번 실험을 통해 기존 가속기 실험이나 천문학적 관측으로 접근하기 어려웠던 초경량 암흑물질을 탐색할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암흑물질은 우주의 질량·에너지 구성에서 약 27%를 차지하며, 천문학적 관측으로 그 존재가 강력히 제시됐다. 그러나 지금까지 암흑물질의 성질이나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관찰한 사례는 없다. 기존 암흑물질 탐색 연구는 약하게 상호작용하는 무거운 입자, 윔프(WIMP)를 중심으로 이뤄졌지만, 그 실험적 증거가 부족한 상황에서 가벼운 암흑물질과 암흑광자 같은 대안..

과학/물리학 2025.02.06

패권, 覇權, hegemony

패권(覇權, hegemony)이란 어떤 집단을 주도할 수 있는 권력이나 지위이자 어느 한 지배 집단이 다른 집단을 대상으로 행사하는 정치, 경제, 사상 또는 문화적 영향력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러한 지배 집단의 리더가 영향력을 갖기 위해서는 다수의 동의가 필요하다.이 용어는 본래 특정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의 주변 도시 국가에 대한 정치적 지배를 의미했지만, 점차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게 되었는데, 특히 맑스주의자인 안토니오 그람시의 문화적 헤게모니 이론이 그 예이다. 이 용어는 폭력이나 지배의 의사를 표현하는 데 종종 오용되기도 하는데, 어떻게 지배가 힘이 아닌 동의를 통해 얻어지는가를 강조할 때 더 잘 정의된다. 이 용어는 초강대국의 활동 등과 관련하여 '정치적 지배'를 뜻하게 되었다. 이탈리아의 ..

카테고리 없음 2025.02.06

경제간섭주의, 經濟干涉主義, economic interventionism

경제간섭주의(economic interventionism)는 시장 실패를 고치고 공익을 제고하기 위해 정부가 시장 프로세스에 간섭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제 정책 관점이다. [경제 계획]경제계획이란 대체적으로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 나타난 현상이며 경제에 대한 국가권력의 개입을 말한다. 자유주의 경제가 발달함에 따라 처음에 예상했던 것보다도 예정의 조화를 이룩할 수 없었고 오히려 폐단이 더 많아짐에 따라 계획의 필요성이 발생한 것이다. 경제계획론으로는 다음의 네 가지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1. 자유주의 경제에서 생산의 능률과 분배의 공평을 규정하는 조건을 음미하고, 나아가서 재정금융의 조작을 통한 국가계획을 고찰하는 것―후생경제학 2. 최근의 소득분석의 발달에 띠라 국가계획의 기반으로서 국민소득의 생산·분..

경제 2025.02.05

공유지의 비극, The Tragedy of the Commons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은 지하자원, 초원, 공기, 호수에 있는 고기와 같은 개방적인 자원에 개인이 이익에 따라 행동할 시 자원의 고갈을 일으키는 경제 과학적 상황을 설명한다. 이 개념은 1833년 영국의 경제학자 윌리엄 포스터 로이드(William Forster Lloyd)가 쓴 에세이에서 유래되었는데, 그는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규제되지 않은 방목의 영향을 가상의 예로 사용했다. 이 개념은 1968년 개릿 하딘(Garrett Hardin)에 의해 쓰여진 기사 이후 1세기 후에 "공유지의 비극"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비록 공유지 시스템은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붕괴될 수 있지만, 공동 자원에 대한 규제된 접근을 가진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붕괴 없이 자원을 신중히 이..

경제 2025.02.05

정부실패, 政府失敗, government failure

정부실패(政府失敗)는 시장에 대한 정부 개입이 오히려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지칭한다. 시장실패와 대칭되는 개념이다. 정부실패는 C.Wolf에 의하여 처음 비시장실패(Non-Market Failure)라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정부실패가 초래되는 원인을 초과수요를 발생시키는 정부개입의 수요측면과 정부개입의 공급측면 특성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정부실패의 일반적 원인은 수요와 공급측면의 결합적 성격을 띤다. 1. 비용과 수익의 절연(괴리) 2. 내부목표와 사회목표의 괴리(사적목표의 설정) 3. x의 비효율성 (Leibenstein) 4. 공공재의 파생적 외부효과(규제의 역설) 5. 권력의 편재에 따른 분배적 불공평 공공 경제학의 맥락에서 정부 실패는 진정한 자유 시장에서는 비효율성이 ..

경제 2025.02.05

신고전파 경제학, neoclassical economics

신고전파 경제학(新古典經濟學)은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으로 상징되는 고전파 경제학을 계승한 학파로, 정부의 적극 개입을 주장한 케인스 경제학에 대응해 형성된 학파다. '합리적 인간'이 논리의 바탕이다. 시장을 자율에 맡기면 가격의 기능에 의해 생산과 소비가 적절히 조화되고 경제도 안정적으로 성장한다는 것이다. 시장에 인위적으로 개입하지 않는 '작은 정부'를 옹호한다. 원래는 영국 고전파의 전통을 중시한 알프레드 마셜의 경제학을 일컫는 말로 여겨지지만, 일반적으로는 한계혁명 이후의 효용 이론과 시장균형 분석을 받아들인 경제학을 가리킨다. 현재 신고전파 경제학은 미시경제학의 주류 학파가 되었으며, 케인스 경제학과 함께 주류 경제학을 이루고 있다. 거시경제학에서 일컫는 새고전파 경제학(new cla..

경제 2025.02.05

시장실패, 市場失敗, market failure

시장실패(market failure)는 경제학에서 시장기구가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여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지 못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신고전학파의 학자들은 재화와 서비스의 분배가 자유 시장에서 파레토 효율이 아닌 상태로 정의한다. 시장실패는 사회적 순손실로 이끄는 경향이 있다. 각 경제주체의 순수한 이익 추구 현상이 비효율적인 결과를 낳는 시나리오로 바라볼 수 있으며, 이는 사회적 전체적 시각으로 바라볼 때 개선될 수 있다. 시장실패는 1958년부터 경제학자들이 사용한 용어이나, 개념적으로 보면 빅토리아 시대의 헨리 시즈윅이 도입했다.시장 실패는 주로 공공재, 동태적 비일관성에 따른 선호 변화, 정보 비대칭 현상, 불완전 경쟁 시장, 본인-대리인 문제, 외부효과와 관련되어 발생한다.시장 실패..

경제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