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테니스 20

테니스 기타 규칙, tennis other rules

준프로급 선수들이 뛰는 대회부턴 선수들에게 서브용 공을 전달하거나 자잘한 심부름(타올 혹은 물 전달/쓰레기 처리 등)을 하는 볼키즈가 다수 활동한다. 특히 프로 메이저급 대회에는 200~300명의 많은 볼키즈가 참여하는데, 테니스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규칙 숙지, 어학 능력이 요구되기에 아무나 할 수 없다. 보통 엄격한 심사와 훈련을 거쳐 전 세계에서 선발하여 투입되는데, 선수들의 플레이를 바로 옆에서 보고 배울 수 있어 경쟁이 치열하기로 유명하다. 참고로 경기 중에 볼키즈와 선수들이 대화를 나누는 것은 금기시되어 있지만, 가끔 교류가 있는 경우도 있다. 2015 프랑스 오픈에서 우천으로 인해 경기가 지연 중일때 노박 조코비치가 우산을 씌워 주러 온 볼키즈에게 옆에 앉으라고 권한 뒤, 이야기를 나누고 ..

스포츠/테니스 2025.01.24

타이 브레이크, tie break

6-6, 8-8, 혹은 10-10 상황에서 비긴(tie)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도입하는 룰. 게임 스코어와는 달리 1, 2, 3식으로 하나씩 수를 더해 가며 7점을 선취하는 방식과 10점을 선취하는 방식 두 가지로 나뉜다. 첫 서브 후에는 서브를 하는 선수가 바뀌며 그 뒤로는 2서브마다 바뀐다. 총 포인트가 6점이 되면 엔드를 바꾸며, 6-6이나 9-9가 되면 윈 바이 투 룰이 다시 적용된다. 과거 메이저 대회의 마지막 세트(즉 남자 5세트, 여자 3세트)에서는 타이 브레이크가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6-6 이상의 게임 스코어에서는 무조건 2게임을 앞서야 경기가 끝났다. 그래서 상대의 서브 게임을 쉽게 브레이크하지 못하면 장기전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데, 극단적인 사례로 2010년 윔블던 1회전 존 이스..

스포츠/테니스 2025.01.24

테니스 규칙, rules of tennis

1. 테니스의 점수 체계는 기본적으로 포인트 (point), 게임 (game), 세트 (set)의 순으로 계산된다. 스코어는 1 포인트를 딸 때마다 15, 30, 40으로 증가하며, 40 이후 한 포인트를 더 딴다면 그 게임을 따게 된다. 스코어는 서브(serve)를 하는 자의 스코어가 앞에 오게 부른다.40-40이 되면 듀스(Deuce)라고 부르며 2포인트를 연속으로 따야 게임을 가져갈 수 있다. 이 룰을 어드밴티지(Advantage)라고 부르며 40-40 상태에서 서버(Server)[23]가 1점을 선취하면 어드밴티지 인, 리시버(Receiver)가 선취하면 어드밴티지 아웃이라고 부른다. 듀스 상태에서 어드밴티지를 획득하면 스코어 대신 A, 또는 AD가 뜬다. 게임이 시작되기 전에 어드밴티지 없이 게..

스포츠/테니스 2025.01.24

US 오픈, US Open

[US 오픈]매년 8월 말~9월 초에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야외 하드 코트 대회이다. 한 해의 마지막 그랜드 슬램 대회이며, 메인 경기장으로 사용되는 아서 애시 스타디움(Arthur Ashe Stadium)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테니스 전용 경기장이다.윔블던이 끝나면 시즌의 하반기로 접어들어 7~8월에 걸쳐 북미 지역에서 캐나다 오픈과 신시내티 오픈을 포함해 여러 하드 코트 대회들이 개최되며, 그 마무리를 장식하는 US 오픈이다. 2학기 중간고사 이 시기 북미에서 하드 코트 대회 5개가 연이어 개최되는 것을 USTA(미국 테니스 협회)가 US 오픈 시리즈로 묶어 부르며 홍보하고는 하였으나 2023년을 마지막으로 더이상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과거에는 이 US 오픈 시리즈에서 높은 포인트를 기록..

스포츠/테니스 2025.01.17

윔블던, Wimbledon

[윔블던]매년 6월 말~7월 초 영국 런던의 윔블던에서 열리는 잔디 코트 대회로, 그랜드 슬램 대회 중에서도 최고의 권위와 전통을 자랑하기로 유명하다. 경기에 착용하는 복장은 반드시 흰색으로 통일한다는 엄격한 규정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잔디 코트 특성상 서브가 강한 선수들이 강세를 보인다. 이는 표면이 미끄럽고 바운드가 낮아서 리턴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데다, 대회 중반부터는 선수들이 자주 밟는 베이스 라인 근처에 잔디가 벗겨지고 맨땅이 드러나면서 불규칙 바운드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2000년대 들어서는 잔디의 종류를 바꾸고 모래와 물을 뿌리는 등의 조치를 취하면서 서브가 비교적 약한 선수들의 우승도 늘어났다.한편, 클레이 코트와 잔디 코트의 특성이 180도 다른 터라 막 클레이 시즌을 끝..

스포츠/테니스 2025.01.17

롤랑 가로스, Roland Garros, 프랑스 오픈, French Open

[롤랑 가로스]공식 명칭은 롤랑 가로스(Roland Garros)지만, 프랑스 오픈(French Open)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매년 5월 말~6월 초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클레이 코트 대회로, 약 두 달에 걸친 유럽 클레이 코트 시즌의 피날레를 장식하는 1학기 기말고사 격 대회이다. 클레이 코트 특성상 클레이에 강점/약점을 지닌 선수들이 극명하게 갈리는 편이라서 클레이 스페셜리스트 선수들이 강세를 보이는 게 특징이다.특히 스페인의 前 테니스 선수 라파엘 나달은 이 대회 남자 단식 부문에서 14번이나 우승하며 자타공인 클레이 최강자, 흙신으로 불리고 있다. 결승전 14승 무패, 대회를 통틀어 112승 4패의 경이로운 기록을 보유 중이다. 피트 샘프러스의 경우 이 대회 우승이 없어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

스포츠/테니스 2025.01.17

호주 오픈, Australia open

[호주 오픈]매년 1월 중순경 호주 멜버른에서 열리는 야외 하드 코트 대회로, 한 해에 걸친 프로 테니스 투어 시즌의 본격적인 시작1학기 개학식에 해당하는 대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2018년도 대회에서 정현이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하면서 국내 인지도가 높아졌다.1월의 호주는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한여름인지라 최상위권 선수들조차 컨디션 조절에 애를 먹기로 유명하다. 선수 보호 차원에서 날씨에 따른 경기 진행 조절 관련 규정이 존재할 정도이며, 이로 인해 탑랭커가 업셋 당하는 경기도 심심찮게 나오는 편이다. 심지어 더위 때문에 쓰러지거나 기권하는 선수도 간혹 나오고는 한다.다른 그랜드 슬램 대회들에 비해 역사가 짧은데다 상금도 적고, 호주까지의 거리 때문에 이유로 과거에는 선수들이 출전하지 않는 경..

스포츠/테니스 2025.01.17

그랜드 슬램의 역사, The history of Grand Slam

[그랜드 슬램의 역사]'그랜드 슬램'이라는 용어가 테니스에서 처음 사용된 것은 뉴욕 타임즈의 칼럼니스트 존 키어런(Johm Kieran)이 버드 콜린스(Bud Collins)의 저서 《토탈 테니스 - 테니스 대백과》(Total Tennis, The Ultimate Tennis Encyclopedia)를 인용하면서부터였다. 1933년에 대한 장에서, 콜린스는 호주의 테니스 선수 잭 크로포드(Jack Crawford)가 호주 오픈, 프랑스 오픈, 윔블던에서 우승한 직후 그가 US 오픈에서도 우승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던 사실을 언급하였다. 카드 게임의 일종인 콘트랙트 브리지 선수였던 키어런은 이에 대해 "만일 크로포드가 US 오픈에서 우승한다면, 그것은 마치 코트에서 그랜드 슬램 스코어를 획득하는..

스포츠/테니스 2025.01.17

그램드슬램, 그랜드슬램 종류, 테니스, Grand Slam, Grand Slam type, tennis

[그랜드 슬램의 역사]'그랜드 슬램'이라는 용어가 테니스에서 처음 사용된 것은 뉴욕 타임즈의 칼럼니스트 존 키어런(Johm Kieran)이 버드 콜린스(Bud Collins)의 저서 《토탈 테니스 - 테니스 대백과》(Total Tennis, The Ultimate Tennis Encyclopedia)를 인용하면서부터였다. 1933년에 대한 장에서, 콜린스는 호주의 테니스 선수 잭 크로포드(Jack Crawford)가 호주 오픈, 프랑스 오픈, 윔블던에서 우승한 직후 그가 US 오픈에서도 우승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던 사실을 언급하였다. 카드 게임의 일종인 콘트랙트 브리지 선수였던 키어런은 이에 대해 "만일 크로포드가 US 오픈에서 우승한다면, 그것은 마치 코트에서 그랜드 슬램 스코어를 획득하는..

스포츠/테니스 2025.01.16

테니스, 테니스 구질, Tennis, tennis spin type

[플랫] 스핀 없이 빠른 속도로 때려 넣는 샷이다. 스핀을 없애려면 공을 정타로 때려야 하는데 이 경우 공의 궤적이 일직선에 가까워져 네트를 넘겨 공을 코트 안에 넣기가 다른 구질에 비해 더 어렵다. 그리고 스핀을 완전히 없애는 것도 생각 만큼 쉽지가 않다.플랫샷은 일반적인 그라운드 스트로크에도 활용되지만, 플랫샷이 빛나는 순간은 바로 테니스 선수의 가장 강력한 무기인 퍼스트 서브로 사용될 때이다. 플랫서브는 공의 궤적이 거의 직선에 가깝기 때문에 밥먹고 테니스만 연습하는 프로선수라도 서브라인을 넘어가거나 네트를 못 넘기는 경우가 허다하다.(첫 서브 확률 70%가 이상적으로 평가받고, 50%도 안되는 선수도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선수들이 플랫서브를 퍼스트 서브로 사용하는 이유는 바로 가장 속도가..

스포츠/테니스 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