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가 전통적으로 수비 축구에 강세를 보인다. 이 때문에 흥행에서 골머리를 앓는 경우가 많은데 오죽 수비 축구가 횡행했으면 리그 사무국에서 1970년대 3골 이상 득점하고 승리한 구단에게는 승점 1점을 추가하는 로컬 룰까지 도입했다. 지금도 이 저득점 경향에 대한 문제 의식은 여전히 있어서 한때는 같은 승점일 때 골 득실이 아니라 아니라 현재의 K리그처럼 다득점으로 순위를 가리는 방안도 검토했다.
그리고 이 수비 축구의 연장선으로 몸싸움이 상당히 거친 편이다. 작정하고 발목을 노리는 일명 개태클이 난무하고, 빅4 리그 같으면 파울을 불 상황에서도 심판 판정까지 후하기 때문에 밀리지 않고 몸싸움을 이겨낼 수 있는 신체능력을 상당히 중요시한다. 때문에 리그앙에서 득점왕이나 도움왕을 석권하는 선수나 이 선수들을 지속적으로 견제하고 성공적인 수비를 보여주는 선수,혹은 둘 다 해당되는 촉망받는 선수가 있다면 나머지 네 리그에서 상당한 관심을 보이게 된다. 다만 리그의 수준 자체는 5대 리그 중에서도 꼴찌라고 평가받기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 리그앙 출신 선수는 당첨번호가 반만 나와있는 복권이라 부르며 복불복이라고 평가받는다. 나머지 4대 리그 중 특히 프리미어 리그가 그 복불복 피해를 많이 입었는데 뱅자맹 멘디, 앙토니 마르시알, 니콜라 페페, 티에무에 바카요코, 탕기 은돔벨레 등 수많은 선수들이 높은 이적료로 합류한 뒤 아무런 존재감도 보여주지 못한채 필드에서 지워지다시피 하며, 이후 임대와 벤치를 전전하며 먹튀로 전락했다. 그 외에도 리그앙 출신 한국 선수들인 박주영과 황의조 또한 리그앙에서 좋은 활약을 보이다가 해외로 이적한 뒤 먹튀가 되어버린 사례가 있다.
하지만 선수 풀이 두텁고 재능 있는 선수들도 많아서 성공 사례도 많다. 비슷하게 유망주로 유명한 에레디비시나 프리메이라 리가에 비해 훨씬 주목할만한 선수들이 많고, 리그 수준도 빅 4를 제외한 타 유럽 리그들보다 높은 편이기 때문에[16] 리그 1에서 성공한 선수가 빅 리그에서 성공할 가능성도 높은 편이다. 따라서 빅 리그에서 주로 선수들을 보다 젊은 선수들로 구성하여 리빌딩을 목표로 하거나 부상 및 국제대회 의무 차출덕에 선수층이 앏아져서 긴급하게 즉시 전력감을 구하거나 가성비를 위해 영입할 때 주로 리그 1 선수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리그 자체가 피지컬적으로나 수비적으로 탄탄한 편이다 보니 공격진 쪽에서 타 리그로 넘어가서 성공한 선수들이 많은 편이다. 2000년대 이후만 놓고 보더라도 당장 리그 1 출신 공격수로 로베르 피레스, 디디에 드록바, 카림 벤제마, 올리비에 지루, 에덴 아자르, 리야드 마레즈, 알렉상드르 라카제트 등이 유명하다.
The league has traditionally been strong in defensive soccer. As a result, the league secretariat has introduced a "local rule" in which a team that scored three or more goals in the 1970s and won the game. As the league is still conscious of this low-scoring trend, the league once considered deciding the ranking by multiple points, rather than by scoring or losing goals at the same time.
And as an extension of this defensive soccer, the struggle is quite rough. The physical ability to overcome physical fights without being pushed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re are a lot of so-called dogtackles aiming at the ankles, and in the case of the big four leagues, even if it's a foul, the referee's judgment is generous. Therefore, if there is a player who is the top scorer or assistant in Ligue 1, or a player who continuously checks these players and shows a successful defense, or if there is a promising player who is both, they will show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other four leagues. However, since the level of the league itself is considered the last among the five leagues, players from Ligue 1 are called lottery tickets with only half of the winning numbers and are considered lucky or lucky. Among the other four leagues, the Premier League suffered a lot of bad luck, especially Bangjamain Mendy, Antoni Marcial, Nicola Pepe, Thiemue Bakayoko, and Tanguy Ndombele joined at a high transfer fee, and then erased them from the field without showing any presence, and later fell into a mess while on loan and bench. In addition, Korean players from Ligue 1, Park Joo-young and Hwang Ui-jo, also showed good performances in Ligue 1 and became muktu after moving overseas.
However, there are many successful cases because there are many talented players with thick players. Similarly, there are many players who are much more remarkable than Eredivisie or Primera Liga, which are famous for their promising players, and the league level is higher than other European leagues except for the Big Four [16], so a player who succeeded in League 1 is highly likely to succeed in the big leagues. Therefore, the players in the big leagues mainly consist of younger players to aim for rebuilding, or tend to prefer League 1 players when they urgently seek immediate power or recruit them for cost-effectiveness due to injuries and obligations to international competitions. In addition, since the league itself is solid physically and defensively, there are many successful players who have transferred from the offensive side to other leagues. Just looking at the 2000s alone, players from League 1 are famous for their performances, such as Robert Pires, Didier Drogba, Karim Benzema, Olivier Giroud, Eden Hazard, Riyad Mahrez, and Alexandre Lacazette.
'스포츠 > 축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구 리그 별 스타일, Soccer league style (1) | 2025.01.20 |
---|---|
라리가 플레이스타일, La Liga playstyle (0) | 2025.01.20 |
프리미어리그 플레이스타일 (0) | 2025.01.20 |
축구 전략, football strategy (0) | 2025.01.17 |
축구의 유기성, organicity of football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