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배드민턴

하이클리어, High Clear

bjiu 2025. 1. 19. 02:08

 

배드민턴 기술의 알파이자 오메가이다. 배드민턴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기술이자 가장 중요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하이클리어는 상대방 코트 엔드라인 근처까지 솟구쳐 날아가다 엔드라인 끝에서 뚝 떨어져야 한다. 하이클리어의 구사 방법은 이렇다. 라켓을 든 팔과 다른 한쪽 팔로 삼각형 모양을 그린 뒤, 그 상태에서 그대로 오른쪽 발을 왼쪽 발 뒤로 빼고, 상체도 같이 오른쪽으로 돌린다. 왼쪽 팔은 셔틀콕을 가리키거나, 가슴을 펴주기 위해 왼쪽 위에 두고, 오른쪽 팔은 뒤로 당겨준다. 이때 체중을 오른쪽 다리에 실은 후, 다시 몸을 왼쪽으로 회전시키면서 라켓을 등 뒤로 떨어뜨렸다가, 오른발에 실었던 체중을 앞으로 이동시키면서 스윙한다. 잘 이해가 안 간다면 야구공을 던지는 동작을 생각해 보면 된다.

배드민턴 배울 때 처음 하는 기술이기도 한데, 초심자는 아무리 힘이 장사 같다고 하더라도 라인 끝까지 치는게 거의 불가능하다. 위의 동작을 정확하게 구현한 뒤 라켓의 스윗스팟으로 때려야 높고 멀리 보내는 게 가능하다. 그만큼 연습이 필요하고 스윙에 적합한 근육을 키워야 하기 때문에 인내심을 가지고 2~3개월은 꾸준히 연마해야 한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어쩌다 한 번 치는게 아니라 경기 내내 칠 줄 알아야 한다. 상대의 공격기회를 어렵게 만들기 위해서다. 따라서 서로가 서로에게 공격기회를 주지 않기 위해 엔드라인에서 엔드라인까지 보내는 하이클리어로 랠리가 이어지며 공격이 아닌데 힘이 부족하여 네트라인 근처로 콕이 떨어졌다면 다음엔 100% 상대의 반격이 날아오게 된다.

하이클리어가 중요한 이유는, 조금이라도 상대가 확률 낮은 공격을 시도하게 하기 위함이다. 공격기술보다는 수비기술에 가까운 이유다. 하이클리어를 통하여 라인 끝까지 보내면, 상대는 점프 스매시를 시도할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지만 타구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타구 속도가 빠르더라도 수비입장에서는 어느 정도 방어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만일 하이클리어 기술을 제대로 구사하지 못한다면, 매번 애매한 높이와 애매한 거리로 상대에게 확률 높은 공격을 시도하는 여지를 주게 된다. 앞서 언급했듯, 하이클리어 스윙 동작은 스매싱의 기초 기술이기 때문에 기초를 잘 쌓으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물론 하이클리어만 써서는 좋은 선수라고 불리기는 어렵지만 하이클리어를 제대로, 잘 쓰는 선수라면 여러 가지 컴비네이션도 가능하고, 엔드라인에서 죽치고 앉아 있을 수 없는 배드민턴의 특성상 상대방을 지치게 할 수 있는 꼭 필요하고 중요한 기술이다.

 

 

It is the alpha and omega of badminton technology. It is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skill in badminton. The high clear must soar near the end line of the opponent's court and fall off the end line. Here's how to use the high clear. After drawing a triangle with the arm and the other arm with the racket, take out the right foot behind the left foot and turn the upper body to the right as well. Point to the shuttlecock with the left arm above the chest, and pull the right arm back. At this time, after loading the weight on the right leg, while rotating the body to the left, drop the racket behind the back, and swing while moving the weight on the right foot forward. If you don't understand well, think of the motion of throwing a baseball.

It's also my first technique when learning badminton, but no matter how strong the beginner's strength seems, it's almost impossible to hit the end of the line. After accurately implementing the above movements, you have to hit it with a sweet spot on the racket to send it high and far. That's how much practice is required and you have to build muscles suitable for swing, so you have to be patient and continue to work for 2-3 months. And the important thing is not to hit it once, but to know how to hit it throughout the game. This is to make the opponent's attack chances difficult. Therefore, if the rally continues with high-clear, which sends from the end line to the end line so that each other does not have a chance to attack, but the cock falls near the net line due to lack of strength, the opponent's counterattack will fly 100% next time.

The reason why high-clearing is important is to allow opponents to attempt attacks with low probability. This is why it is more like a defensive technique than an attack technique. If you send it to the end of the line through high clear, the opponent can earn time to try a jump smash, but because the batting distance is longer, you have some time to defend yourself even if the batting speed is high. If you do not use high-clear skills properly, you will give your opponent room to attempt a high-probability attack with an ambiguous height and distance every time. As mentioned earlier, high-clear swing movement is a basic technique of smashing, so if you build up the foundation well,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it is difficult to call it a good player just by using high clear, but a player who uses high clear well can combine many things, and due to the nature of badminton, which cannot sit dead and dead at the end line, it is an essential and important skill that can tire the opponent.

'스포츠 > 배드민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어핀, Hairpin  (0) 2025.01.19
드롭, drop  (0) 2025.01.19
drive, 드라이브  (0) 2025.01.19
언더클리어, Under clear  (0) 2025.01.19
배드민턴 플레이 스타일  (0) 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