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어드롭(Tear Drop)이라고도 한다. 레이업처럼 뛰다가 슛을 쏘는 방식이지만 올라가면서 점프 슛과 비슷하게 오버핸드로 공을 띄워버리는(float)방식이다. 일반 레이업과 비교했을 때 슛이 올라가는 각도가 더 높고 슛 타이밍도 더 빨라서 장신 수비수가 앞에 있다 해도 블록하기가 상당히 힘든 슛 기술이다.
스쿱샷을 잘 쓰는 선수가 플로터도 쓰면서 양 기술을 혼용하면 수비수 입장에선 아무리 키 작은 선수여도 블록 슛 타이밍 맞추기가 더럽게 힘들며, 이 때문에 미스매치 상황에서도 단신 핸들러가 공격 우선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스쿱샷+러너 등와 함께 NBA에서 단신 드리블러들의 피니쉬로 아주 유용하고 강력한 필살기로 손꼽힌다. 토니 파커의 티어 드랍은 파커의 상징이 되었고, 크리스 폴, 데런 윌리엄스 등 NBA에서 톱클래스 가드면 득점스킬로 반드시 가지고 있는 기술. 종종 파우 가솔같은 유럽 출신 장신 선수들도 플로터를 잘 쓰는데, 들어가기 시작하면 상대팀 수비에 애로사항이 꽃핀다. 스테판 커리의 경우에도 플로터를 장착하면서 페인트존 마무리가 탑급에 이르렀으며 최근에는 특급 루키 자 모란트의 플로터가 엄청난 성공률로 주목 받고 있다.
이런 핑거롤, 스쿱샷, 플로터 등이 단신 공격수들 중심으로 특히나 발전한데는, 현대 농구에서 단신 선수들이 가진 신장의 약점 + 미드레인지 게임의 부재를 동시에 해결해줄 수 있는 수단이 이런 변칙 장거리 원핸드 슛이 되었기 때문이다. 3점슛은 선수의 피지컬을 불문하고 스팟업이 풀업보다는 유리하고 원하는 대로 연사가 힘들며, 골밑슛은 정말 선택받은 피지컬과 핸들링의 보유자가 아닌한 키 크고 몸빵 좋은 선수가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그렇기 때문에 단신 공격수들이 미드레인지 풀업에 의지하기엔 낮은 확률과 그래비티 유도에 한계가 있다. 때문에 골밑슛 하기엔 멀고 점퍼를 던지기엔 블록 당하기 쉬운 숏미드레인지에서 기습적으로 올려서 넣을 수 있는 원핸드 슛의 종류가 많고 성공률이 높다면, 상대가 아무리 키 작고 슛없다고 해도 골밑까지 기다렸다가 공만 쳐내는 여유있는 수비가 불가능하다. 블록 뜨기 전에 푹 찔러넣는 스킬이니까. 때문에 현재 플로터,핑거롤 같은 기술은 꼭 단신 공격수 뿐이 아닌, 골밑슛에 약점이나 한계를 가진 선수가 숏미들 상황이나 드라이브에서의 공격 선택지를 높이기 위해 장착하는 필수 무기가 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과거 SBS 스타즈(現 안양 KGC인삼공사)의 외국인 선수인 데니스 에드워즈가 2000/2001 시즌에 이걸 주무기로 구사해 유명해졌다. 그때만 해도 플로터라는 이름이 전혀 알려지지 않고 슛 자체를 듣도 보도 못한지라 언론에서도 막슛이라는 이름으로 불렀고, 에드워즈는 인터뷰 때 나의 슈팅은 막슛이 아니라 플로터라고 여러차례 정정요청을 했을 정도. NBA에서는 1970년대부터 이미 플로터를 활발히 사용하고 있었는데, 우리나라 농구계에는 그때까지도 플로터라는 기술이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 에드워즈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현장보다 더 농알못인 언론들은 플로터를 팬들에게 제대로 알리기는 커녕 입에 착 감기는 어감 때문인지, 아니면 듣고도 이해를 못하고 에드워즈가 적당히 둘러대는 건줄 알았는지 계속해서 막슛이란 용어를 남발했다. 에드워즈 시점에서 보면 기껏 장신 선수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고급 기술을 선보였더니 정작 팬들과 언론은 막슛이라고 부르면서 뽀록 취급하는 황당한 상황이었던 셈이다.
플로터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에피소드가 또 있는데 전태풍이 처음 KCC에 입단했을때 플로터를 던지자 허재가 못 던지게 막았다고 한다. 문제는 이런 허재감독이 KBL감독중에선 가장 많이 선수들의 개인 기량을 존중해주고 선수들이 하고 싶은 농구를 할 수 있게 밀어준 감독이라는 점이다. 그런 허재조차도 가드들의 필수 덕목인 플로터를 못 던지게 막았으니 한국 농구의 지식 수준이 얼마나 낮았는지 알수있는 부분. 그나마 이후로는 국내 선수 중 이현민이 자주 시도하였고, 현재는 김선형이 플로터를 굉장히 즐겨 사용하며 같은 팀의 자밀 워니도 플로터가 주 공격 옵션이다. 현재 KBL에서 플로터를 능숙하게 활용한다고 할 만한 선수가 아직 많지는 않지만, 이전처럼 아예 터부시되는 분위기는 확실히 아니다.
It is also called "Tear Drop." It is a method of shooting a shot while running like a layup, but it is a float method, similar to a jump shot, by overhand. Compared with ordinary layups, the angle at which the shot goes up is higher and the timing of the shot is faster, making it quite difficult to block even if there is a tall defender in front.
If a player who is good at scoop shots uses a floater and mixes the two techniques, it is difficult for defenders to timing block shots no matter how short the player is, and for this reason, it is considered a very useful and powerful lethal technique for short dribblers in the NBA along with scoop shots + runners that allow short handlers to have priority in attack even in mismatched situations. Tony Parker's tier drop has become a symbol of Parker, and if he is a top-class guard in the NBA, such as Chris Paul and Darren Williams, he must have a scoring skill. Often tall players from Europe such as Pau Gasol use floaters well, but when they start to enter, difficulties bloom in the opponent's defense. Stephen Curry's paint zone finish reached the top level while installing a floater, and recently, the floater of the special rookie Ja Morant has attracted attention for its tremendous success rate.
These finger rolls, scoop shots, and floaters have developed especially among short-handed strikers because such an anomalous long-range one-hand shot has been the means to solve the kidney weakness of short-handed players in modern basketball and the absence of mid-range games at the same time. Regardless of the player's physicality, spot-ups are more advantageous than pull-ups, and under-the-goal shots are more difficult for the speaker to do as desired, and tall, healthy players are overwhelmingly advantageous unless they have the physical and handling they are really selected. Therefore, there is a low probability and a limit to inducing gravity for short-handed strikers to rely on mid-range pull-ups. Therefore, if there are many types of one-handed shots that can be suddenly raised from a short mid-range that is far from under the basket and is easy to throw a jumper, and the success rate is high, no matter how short and short the opponent is, it is impossible to have a relaxed defense that only waits under the basket and hits the ball. It is a skill to stick it hard before the block is lifted. Therefore, techniques such as floater and finger roll are not necessarily short-handed strikers, but also essential weapons that players with weaknesses or limitations in under-the-goal shots are equipped to increase attack options in short-me situations or drives.
In Korea, Dennis Edwards, a foreign player of SBS Stars (currently Anyang KGC Ginseng Corporation), became famous for using it as his main weapon in the 2000/2001 season. At that time, the name floater was not known at all and he had never heard of the shot itself, so the media called him a last shot, and Edwards even asked for correction several times during interviews that my shot was a floater, not a last shot. The NBA has already been actively using floater since the 1970s, but the technique of floater was not well known in the Korean basketball world until then. Despite Edwards' request, the media, who were more ignorant than the scene, continued to use the term "last shot" over and over again, not to mention it to fans, or whether he thought it was because of his mouth-wrenching tone or if he knew Edwards was just talking properly. From Edwards' point of view, he showed advanced technology to survive the competition with tall players, but fans and the media called him a last shot and treated him like an absurd situation.
There is another episode that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bout floaters, and when Jeon Tae-pung first joined KCC, Heo Jae stopped him from throwing them. The problem is that Heo Jae is the coach who respects the individual skills of the players and pushes them to play the basketball they want to play. Even Heo Jae stopped the players from throwing floaters, which are essential virtues of guards, so you can see how low the knowledge level of Korean basketball was. Since then, Lee Hyun-min has tried it often among Korean players, and Kim Sun-hyung enjoys using floaters, and the main attack option is Jamil Warney of the same team. There are not many players who can be said to use floaters skillfully in the KBL, but it is certainly not the atmosphere that is being played at all like before.
'스포츠 > 농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블 클러치, Double Clutch (0) | 2025.02.04 |
---|---|
핑거 롤, Finger Roll, 스쿱샷, Scoop Shot, 핑거 롤과 스쿱샷 (0) | 2025.02.04 |
레이업 슛, Lay-up (1) | 2025.02.04 |
풀업 점퍼, Pull-up Jumper (1) | 2025.02.02 |
뱅크 슛, Bank Shot (0) | 2025.02.02 |